Wonsook Kim
김원숙
Information
Moving to United States while attending Hong-ik University, Wonsook Kim finished he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y from Illinois State University. After hosting her first solo exhibit in 1976 at Myeong-dong gallery, she has held solo exhibits for more than 30 times in Korea, United States, and Japan, and was invited to countless planned and invited exhibitions. She won the Stein Art award in 1975, and was nominated as the United Nations Artist of the Year in 1995. Her famous works include: “Silence” (침묵), “Gold Tree” (골드 트리), “Full-Moon Woman Paints” (보름달 여인 판화), “Until We Get the Face-Series” (우리가 얼굴을 가지게 될 때까지 연작), and “A Man with the Cane-Series” (지팡이를 짚은 남자 연작). The Korean-American painter Wonsook Kim’s paintings have simple yet secretive narratives. She paints a world that she experiences in her ordinary life, as if she’s writing a diary. And like a diary, she paints that world on a canvas or a box panel light-mindedly or as if she’s doing a monologue. For her there is no place for postmodern discourses or complex abstract theories. Her smooth, flowing style and her flexible painting stylistics with a lustrous color that has no intricate calculation or intention like that of a fairy tale, is received easily and directly to anyone who appreciates her paintings.
홍대 재학 중 도미, 미국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와 대학원을 마쳤다. 1976년 명동화랑에서 첫 개인전을 가진 이후 한국, 미국, 일본 등지에서 30여 차례의 개인전과 수십회의 기획전 및 초대전을 가졌다. 스타인 미술상 (75)을 수상했고 유엔선정 "올해의 예술가"(95)에 뽑히기도 했으며 작품으로 '침묵' '골드트리' '보름달 여인 판화' '우리가 얼굴을 가지게 될 때까지 연작' '지팡이를 짚은 남자 연작' 등이 있다. 재미화가 김원숙의 그림들은 단순하면서도 은밀한 얘기들을 담고 있다. 그리 예사롭지만은 않은 그의 삶 속에서 경험하며 상상하는 세계를 그는 마치 일기를 쓰듯 담백하게 독백하듯 때로는 신화를 빌어 화폭에 혹은 상자패널에 그려내고 있다. 그러한 그에게 난해한 추상이론이나 유행하듯 번지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거대한 담론이나 이슈들은 자리 잡을 틈이 없다. 매끄럽게 흐르듯 유동적인 필법과 윤색 있는 원색조의 그의 그림양식은 마치 동화의 그것같이 치밀한 계산이나 의도가 들어 있지 않고 누구에게나 쉽게 그리고 직접적으로 와 닿는다.
Profile
1953 부산출생
1972 홍익대학교 졸업
1974 일리노이 주립대학 졸업
1976 일리노이주립대학원 졸업
개인전
2007 예화랑, 서울
2006 갤러리 현대, 서울
2004 갤러리 현대, 서울
2002 공간화랑, 부산
2001 토마스 맥코믹 갤러리, 시카고, 미국
2001 토마스 콘 갤러리, 상파울로, 브라질
2001 갤러리 하나, 독일
2000 예화랑, 서울
2000 팔로쵸 몬테파노, 이탈리아
1999 사비나 리 갤러리, 로스엔젤레스, 미국
1998 조선일보 미술관, 서울
1998 아트 스페이스 서울, 서울
1998 월시 화랑, 시카고, 미국
1998 공간화랑, 부산
1998 브루스터 화랑, 뉴욕, 미국
1998 보위 아트센터, 사우스캐롤라이나, 미국
1997 예화랑, 서울
1997 맨더빌 갤러리, 유니온 대학, 뉴욕, 미국
1997 갤러리 가나 보브르, 파리, 프랑스
1996 월시 갤러리, 시카고, 미국
1996 빌리 그래함 미술관, 일리노이, 미국
1996 칼슨 타워 화랑, 시카고, 미국
1994 비토샤 갤러리, 불가리아
1994 시그마 갤러리, 뉴욕, 미국
1993 공간화랑, 부산
1993 시카고 국제 미술 엑스포, 시카고, 미국
1993 박여숙 화랑, 서울
1992 Muhlenberg 예술센터, Allentown P.A , 미국
1992 ARCO마드리드(예화랑), 스페인
1991 예화랑, 서울
1991 시그마 갤러리, 뉴욕 , 미국
1991 락스 갤러리, 필라델피아, 미국
1990 North Dakota 미술관, 그랜드 포크스, 미국
1989 락스 갤러리, 필라델피아, 미국
1989 에스페란자 갤러리, 캐나다
1988 함부르크 Masse, 함부르크, 독일
1988 Kukwa 갤러리, 뉴저지, 미국
1987 아이넥스 갤러리, 도쿄, 일본
1987 한국화랑, 서울
1987 와타리 화랑, 도쿄, 일본
1986 Kukwa 갤러리, 뉴저지, 미국
1984 앤더슨 갤러리, 리치몬드, 미국
1983 예화랑, 서울
1982 Brook Alexander INC.,뉴욕, 미국
1981 뉴욕 주 한국문화센터, 뉴욕, 미국
1978 길 화랑, 서울
1976 시각예술센터, 일리노이 주립대학, 일리노이, 미국
1976 명동화랑, 서울
단체전
2006 예화랑 개관 28주년 특별기획전 ‘Into the Aura’展 예화랑
2003 예화랑 개관25주년 특별기획전 ‘한국의 美感’展 예화랑
2003 Dreams and Reality, 멤피스, 미국
2002 Drawing Center, 뉴욕, 미국
2002 가모화랑, 서울
2001 Mega Morning Calm, 풀턴 갤러리, Salisbury University Gallery, 뉴저지, 미국
2001 Wooden Boxes, 가람 화랑, 서울
2001 서울, 제주 그리고 뉴욕, 조 갤러리, 뉴욕, 미국
2001 Korean Contemporary Art, 앤드류 배 갤러리,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2001 Shared Spirits & Sensibilities, 하워드 카운티 아트센터, 미국
2001 국립 현대미술관, 서울
2000 아트 쾰른, 예화랑, 쾰른, 독일
2000 The Heritage Fine Arts, 산호세, 캘리포니아, 미국
1999 메릴랜드 미술관, 메릴랜드, 미국
1999 락빌 아트 플레이스, 메릴랜드, 미국
1999 전통과 혁신, 메릴랜드 대학, 메릴랜드, 미국
1999 서울, 제주, 뉴욕’, 조 갤러리, 뉴욕, 미국
1998 몬테카를로 현대 미술제, 모나코
1997 타카라 갤러리, 휴스턴, 미국
1997 The Intimate Brush, 팔로알토 문화센터, 미국
1996 FIAC 국제 아트페어, 예화랑, 파리, 프랑스
1995 2인전 ISE Foundation, 뉴욕, 미국
1994 소품들, d.p. Fong Gallery, 산호세, 미국
1992 뉴 트렌드 갤러리, 타이베이, 대만
1992 한국의 현대미술, 시모노세키 미술관, 일본
1992 Visions in Between, ISE 재단, 뉴욕, 미국
1992 후쿠야마 미술관, 히로시마, 일본
1991 Directions: 회화, 조각, 판화, 락스 Gallery, 필라델피아, 미국
1991 10인의 한국여성작가전, 국립여성미술관, 워싱턴, 미국
1990 한국 현대회화전, 국립미술관, 유고슬라비아
1989 한국 현대 미술, 베르겐 박물관, 유고슬라비아
1987 Lyrical Line, 한국화랑, 뉴욕, 미국
1987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1987 갤러리 현대, 서울
1986 6인의 현대 한국-미국 화가들, Simard Halm& Shee 갤러리, LA, 미국
1986 국제미술회고전, James Madison University, 해리슨버그
1983 현대 드로잉, N. A. M. E.갤러리,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1983 Compassionate Image, N.A.M.E. Gallery, 시카고, 일리노이, 미국
1982 그림과 조각 82, 인디애나폴리스 미술박물관, 미국
1982 흑과 백, Museum of Modern Art, 뉴욕, 미국
1981 에피소드, Grace Borgenicht 갤러리, 뉴욕, 미국
1981 브룩 알렉산더, Inc., 뉴욕, 미국
1981 현대미술, 형상찾기, 한국갤러리, 뉴욕, 미국
1981 현대미술, 형상찾기, University Art Museum, 미국
1980 드로잉 센터, 뉴욕, 미국
1980 삽화 & 우화’, 브룩 알렉산더, Inc., 뉴욕, 미국
1978 Arc 갤러리, 시카고, 미국
1978 Arc 갤러리, 시카고,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