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Zu Do Yang

朱道陽  주도양 (b.1976)
Information

Review – the world trapped in a circle, Geonsoo Choi (Photography critic)

 

  Zu do Yang is experimenting on another art with photography. In the space of the circle, He has been struggling for many years to dismantle stereotypes of photography and reconstruct it. But the circle he shows out is not serious at first. It is a round circle like a beautiful glass bead, and a circle like the planet shining in the darkness of the universe. There are many questions that he asks in this circle, and all the things that he has to solve. So it seems to me that it is only possible to have a good appreciation for this oddly rounded digital image that seems to be enchanted by the artist once we disenchant the spells that the artist casted on this circle.

  First of all, he makes these photographs unfamiliar by changing the frame of the world that we saw through familiar square frames to circles. But if you think about it, isn’t the camera lens that we use to look at the world are round and in a circular shape? We have been seeing the world within the square frame for a while, and so it is strange to see it as the world is. What's more, the world in a beautiful circle is simply a mystery. If it is a photographic image, then the visible world will have to reveal the order of the image before the fixed point of view. However, these photographs are not a world based on one perspective, but rather a multi-perspective. It is a kind of a perspective twist. So far, our eyes and the cameras have been looking at the world based on the one-point perspective, and the artist is attempting to escape the wrong way of seeing the world as he sees fit. He is reconstructing into a space the experiences of seeing many places with multiple perspectives. But if you think about it, is it not more accurate to see the human visual experience moving from one scene to another as fast as the speed of light: Rapid, automatic and focused eye function is still intact, but new scenes are added to the remaining afterimages, so that objects are recognized with panoramic vision. If you postulate what you just saw is left in your optic nerve, and if you can perceive it, then you mistake it as what you are seeing now. It is kind of an optical illusion.

  Works are full of these question marks. However, this painful search can be easily found in the ancient Egyptian pyramid art. In the picture painted on the wall in the grave for the dead, the Egyptian painters painted everything they saw in a space shamelessly. They paint the side of the face yet the eyes are drawn as if they saw it from the front; the torso and the arm are also drawn as if they are seen from the front, but the bottom is drawn from the side. They draw all the pictures from the point where they can most accurately see the most empirical aspects of things. It seems like there was no one who criticized this method. Because it is a drawing technique commonly found in many Egyptian arts. It is strange to approach the art composed from these various viewpoints from a one-point perspective. This multi-perspective can be easily found in contemporary art. The works of cubic painters such as Braque and Picasso also show this view.

  What is true and what is fiction? There is no evidence that it is right to draw only what is seen at a single point in time. It is also a good way to deconstruct the viewpoint, dismantle the viewing conventions, and rebuild the objects to be viewed. So the Egyptians did not believe that they should draw what they did not see. Cubist painters also think that their paintings are realistic depictions.

  This young artist also tackles familiarity with the world through photography. Let's try the following experiment. Close your left eye and look at the world using only your right eye. How narrow the world looks. This time, open your left eye and use your eyes to look at the world. How wide the world seems to be? The world we see with two eyes is about 150 degrees. If our eyes were one or two more on the side and back of the head and one on the top of the head, it would be a bit of fun to see the world, though it may be a little bit kitsch to look at. This artist seems to be having such a dream, making a mosaic world like a dragonfly's eye looking at the world with a photo-based deception based on a point-of-view perspective.

  He dreams of a perfect circle world of 360 degrees to see all the way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up and down. His intentions were wonderfully successful. In a round circle, all the worlds caught within 360 degrees are symmetrical and co-existing. How is this possible? He put a camera on a tripod for this work, and rotated about 360 degrees and shot about 20 to 30 basic images. This is an enlargement of the usual panorama photography technique. Then, the images obtained by using the 2D program were finely combined and synthesized. This process is not so easy. The difficulty expected in a 360-degree panoramic shooting is that it requires a sufficient amount of image depending on the choice of angle and the lens chosen, the change of exposure according to scene change, the direction of light and the matching of white balance to various cocktail light sources. There are such problems that are required to be solved.

 

 

  The artist resolves the delicate technological demands with a perfect technique so that the viewer does not notice, and then comes to ask playfully. "Is this true? Is it fiction?” We hesitate. He also hesitates. Of course, he does not want answers. However, he only tries to show a new approach to the question of how to view the world by combining digital technology while questioning the way of seeing things through the existing one-point perspective. Therefore, this exhibition did not show much desire to cover both form and theme. While continuing to borrow various spaces and spaces in reality with the power of digital technique, he is enjoying the subsequent visual amusement given by unexpected fantastic space created by exaggeration and distortion derived from the technique.

  However, the artist has left his "hidden theme" as a puzzle about whether the photographic image that is shown in one space by reproducing the point of view is fiction or not. As a solution to these problems, you can look at sequential trends like the narrative structure of a movie, or you can think of ways of expressing various aspects of your views through structural juxtapositions, such as David Hockney's multiple images.

The work of Zu do Yang has an ideological similarity to David Hockney in that it dismantles and rebuilds the reality like a photo installation or mosaic of the David Hockney technique, but the expressions of these two artists shows a big difference. The way Yang presented through his work is to reconfigure the disorganized reality in a space by using perspective. Thus, this is not a matter of fact and fiction. But in fact, like how a novel based on the artist's experience borrows a fictional form to make an artistic statement of the author, he sets a virtual space that cannot be found in the real world to show his visual experiences in the space accumulating and compressing those experiences in that space. His camera is the eyes of many compound eyes like those of the dragonflies, grasses, and grasshoppers.

 

 

 

평론 - 둥근 원에 갇힌 세상

                                                        최 건 수 (사진평론가)

  주도양은 사진으로 또 하나의 예술을 실험 중이다. 원이라는 공간 속에서 사진에 대한 고정관념을 해체하여 재구성하는 일을 붙들고 몇 년째 싸우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그가 밖으로 보여주는 원은 일견 심각하지 않다. 알록달록한 예쁜 유리구슬 같은 둥근 원이고, 우주의 어둠 속에서 빛나는 행성 같은 원이다. 이 둥근 것에 그가 던지는 여러 의문과 해결해야 할 것들이 모두 들어 있으니, 요지경 같은 원이기도 하다. 그러니 마법에 걸린 듯한, 이 희한한 동그란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맛있는 감상은 작가가 이미지에 걸어둔 주술을 풀어내야만 어느 정도 가능할 것 같다.

 

  먼저 낯익은 사각 프레임을 통해서 보던 세상의 틀을 원으로 바꾸어놓는 것부터 이 사진들을 낯설게 만든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사진기로 세상을 보던 렌즈는 원래 원이 아니었던가? 원으로 보던 세상을 그동안 사각 틀 하나를 덧씌워서 보았는데, 원래대로 보자고 하니 이상하기만 한 것이다. 더욱이 예쁜 원 속에 담겨 있는 세상은 참으로 희한하기만 하다. 그게 분명 사진 이미지라면, 보이는 세계는 보는 자의 고정적 시점 앞에서 이미지의 질서를 드러내서 보여주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이 사진들은 하나의 원근법을 근거로 한 세계가 아니라 다점 원근법을 쓰고 있다. 일종의 원근법 비틀기이다. 지금까지 우리의 눈도, 사진기도 일점 원근법을 근거로 세상을 보고 있는데, 작가는 제 보고 싶은 대로 세상을 보는 엉뚱한 일탈을 시도하고 있다. 복수의 시각으로 여러 곳을 본 경험을 한 공간 속에 재구성해놓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곰곰이 생각해보면 인간의 시각 경험은 하나의 장면에서 다른 장면으로 빛의 속도만큼 빠르게 옮겨가면서 본다는 것이 더 정확한 것이 아니겠는가? 아주 빠르고 자동적이고 초점이 맞는 눈의 기능은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는 잔상 위에 새로운 장면이 이어지면서 파노라마 시각으로 사물을 인식하는 것이다. 직전에 본 것이 시신경 속에 남아 있고 지각이 가능하다면, 그것 또한 지금 보고 있는 시점 속에 함께 있는 것이라고 착각하는 것이다. 일종의 환시(幻視)라고나 할까.

  작품들은 이런 의문 부호로 가득 차 있다. 그러나 이 고통스러운 탐색도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미술’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망자를 위한 무덤 안의 컴컴한 벽에 그려진 그림 속에서 이집트 화가들은 제가 본 것을 부끄럼 없이 한 공간에 모두 그렸던 것이다. 얼굴의 옆모습을 그렸지만 눈은 정면에서 본 그대로를 그렸고, 상체와 팔 역시 정면의 모습이지만 아랫도리는 측면을 그렸다. 모든 그림을 사물의 경험적인 측면을 가장 정확하게 볼 수 있는 시점을 택해서 그린 것이다. 이렇게 그려도 시비 건 사람이 없었던 것 같다. 왜냐하면 수많은 이집트 미술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드로잉 기법이니까 말이다. 이 다양한 시점을 통해서 구성된 미술을 일점 원근법에서 접근하면 이상하다. 이러한 다점 원근법은 현대 미술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브라크나 피카소 같은 입체파 화가들의 작품 또한 이러한 관점을 여실히 보여준다.

 

  무엇이 사실이고 무엇이 허구일까? 한 시점에서 보이는 것만을 그려야 하는 것이 옳다는 근거는 없다. 시점을 해체하고, 보는 관습을 해체하여 볼 대상들을 재구축하는 것도 제대로 보는 방법일 수 있다. 그래서 이집트인들은 그들이 안 보이는 것을 그린다고 믿지 않았던 것이다. 입체파 화가들 또한 자신들의 그림이 사실적 묘사라고 생각한 것이다.


  이 젊은 작가 역시 사진을 통해서 세상을 보는 익숙함에 다시 딴죽을 걸고 나선다.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한번 해보자. 왼쪽 눈을 감고 오른쪽 눈만을 이용해서 세상을 보라. 세상이 얼마나 좁게 보이는지. 이번에는 왼쪽 눈을 뜨고 두 눈을 활용해서 세상을 바라보자. 세상이 또한 얼마나 넓게 보이는지. 이렇게 두 눈으로 볼 수 있는 세상은 150도 정도의 시야이다. 우리 눈이 머리의 옆과 뒤에도 한두 개씩 더 있고 정수리에도 하나 정도 붙어 있었다면, 보기는 흉해도 세상 보는 재미가 제법 쏠쏠할 것 같은데, 아쉽다. 이 작가도 그런 꿈을 꾸고 있는 것 같다. 일점 원근법에 근거한 사진기만을 가지고 마치 잠자리 눈이 세상을 보는 것 같은 모자이크 세상을 만들고 있으니…….


  그는 앞뒤, 좌우, 위아래를 모두 볼 수 있는 360도의 완전한 원의 세계, 그 요지경을 꿈꾸고 있다. 그의 의도는 멋지게 성공했다. 둥근 원 속에, 360도 안에 잡힌 모든 세계가 대칭구조를 이루면서 동거에 성공한 것이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한가? 그는 이 작업을 위해 삼각대 위에 사진기를 올려놓고 360도를 회전시키면서 20~30장 정도의 기초 이미지를 촬영했다.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파노라마 촬영기법의 외연을 확대한 것이다. 그리고 2D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얻어진 이미지들을 정교하게 조합하고 합성을 했다. 이 과정은 그리 쉬운 것이 아니다. 360도 파노라마 촬영에서 예상되는 어려움은 앵글과 사용 렌즈의 선택에 따라 충분한 양의 이미지가 필요하고, 장면의 변화에 따른 노출의 변화, 빛의 방향과 다양한 칵테일 광원에 대한 화이트 밸런스의 일치 문제 등 기술적 문제의 해결이 동시에 요구된다.


  작가는 이러한 섬세한 기술적 요구를 보는 사람들이 눈치 채지 못하도록 완벽한 기술로 해결을 한 후에 장난기 어리게 물어온다. “이것이 사실입니까? 허구입니까?” 우리는 망설이게 된다. 그도 망설인다. 물론 답을 원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기존의 일점 원근법을 통해서 사물을 보는 방식에 의문을 던지면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하여 세상을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만을 보여주려 할 뿐이다. 그러기에 이번 전시에서는 형태(form)와 주제를 모두 아우르려는 많은 욕심을 보여주지도 않았다. 철저하게 현실 속의 여러 공간과 공간을 디지털 기법의 힘을 빌려 이어가면서, 여기서 파생되는 과장과 왜곡이 빚어내는 예기치 않은 환상적 공간이 주는 시각적 유희를 부수적으로 즐기는 것이다.


  다만 이미 본 시점을 재생하여 한 공간에서 보여주는 사진 이미지가 과연 허구냐 사실이냐에 대한 스스로의 고민을 작가는 퍼즐 같은 자신의 ‘감추어진 주제’로 남겨두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써 영화의 서사구조처럼 시간의 경과 속에서 순차적으로 보여줄 수도 있고, 데이비드 호크니(David Hockney)의 멀티플 이미지처럼 여러 측면의 시각을 구조적 병치를 통해서 보여주는 표현 방법 등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주도양의 작업들은 데이비드 호크니 방식의 사진설치나 모자이크처럼 현실을 해체하고 재구축 한다는 점에서 이념적 공통성이 있지만 표현 방법은 큰 차이를 보여준다. 그가 작품을 통해서 제시한 방법은 해체된 현실을 하나의 공간 속에서 다면 원근법을 이용하여 통일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것은 사실과 허구의 문제가 아니라 작가의 체험을 바탕으로 한 소설이 허구 형식을 빌려 작가의 예술적 진술을 말하듯, 현실 세계 속에서는 있을 수 없는 하나의 가상공간을 설정하고 그가 본 시각적 체험을 그 공간 속에서 집적하여 보여주는 방법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사진기는 수많은 겹눈으로 된 잠자리의 눈이요, 파리, 메뚜기의 눈이다.

Profile

2000년 동국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2003년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술학과 서양화전공 졸업

 

현 동국대학교 , 추계예술대학교, 충북대학교, 서울예술대학 출강 중

  

개인전

   2008년 Vanitascape 세오갤러리, 서울

   2007년 Between Fiction & Reality UM Gallery, 서울

   2006년 Development Figure 금호미술관, 서울

   2003년 <시간의 궤적전> 관훈갤러리, 서울

   2002년 LANDSCAPE-X-ray 예술의 전당, 서울

 

단체전

   2009년 Over the Rainbow 홍콩비쥬얼아트센터, 홍콩

   2009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 2009> 코엑스, 서울

   2009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 2009>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9년 <제9회 송은미술대상전> 인사아트센터, 서울

   2009년  ART Road77-with art, with atist 갤러리 한길, 헤이리

   2009년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아트페어-예화랑> 그랜드 하얏트호텔, 서울

   2009년  The Initiative-SEOUL 무이갤러리, 서울

   2009년 <공간감각> 리나갤러리, 서울

   2009년  Beyond Realism 봉아트갤러리, 서울

   2009년  Land-Balance 세오갤러리, 서울

   2009년 <노래하는 눈> 구로문화재단, 서울

   2009년 <2009 서울아트살롱> AT센터, 서울

   2009년 <자연+스러움> 성곡미술관, 서울

   2009년 <세로토닌> 갤러리 나우, 서울

   2009년  Multiscape 315아트센터, 마산

   2009년 <히어로피아> 세오갤러리, 서울

   2008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2008>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8년 <싱가폴아트페어2008> Suntec Singapore Hall, 싱가폴

   2008년 <대구사진비엔날레-특별전 공간유영>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

   2008년 <한국현대미술의 현재와 미래전-광주비엔날레 후원전> 나인갤러리, 광주

   2008년 <포토컬렉션 No.1> 리나갤러리, 서울

   2008년 <섬머아트쇼1> 더 화이트 갤러리, 서울

   2008년 <크리에이티브 마인드> 사비나 미술관, 서울

   2008년  Meta Fiction 두산갤러리, 서울

   2008년  Archetype 관훈갤러리, 서울

   2008년  마음의 정원, Mindful Garden 신세계 아트홀, 서울

   2008년 <자연, 정원 그리고 풍경> 더 컬럼스 갤러리, 서울

   2008년  5월! folling in love 청개구리 샘 갤러리, 헤이리 파주

   2008년  A Sweet Illusion 갤러리 한길, 헤이리 파주

   2008년 <현대사진의 뉴프론티어> 갤러리 나우, 서울

   2008년 <한국 현대사진 유망작가 16인전 > 노화랑, 서울

   2007년  Seo Love 세오갤러리, 서울  

   2007년 <도쿄컨템포러리아트페어 TCAF2007> Toubi Forum, 도쿄)

   2007년 <청소년과 함께하는 미술잔치 즐거운 일상> 어울림미술관, 고양

   2007년 <아트그룹 자유로 기획초대전> 포스코갤러리, 포항

   2007년 <서울국제판화사진아트페어 SIPA2007>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07년 <이룸갤러리 개관전 2부 픽셀 온 오프> 이룸갤러리, 서울

   2007년 <한국국제아트페어 KIAF2007> - 젊은 신진작가 포트폴리오 공모전 코엑스, 서울

   2007년 <예술과 수학의 교감전> 사비나미술관, 서울

   2007년 <아르바자르 개관기념 초대전> 아르바자르, 부산

   2007년 <과학예술특별전II> 사비나미술관 기획, 국립중앙과학관 과학예술관, 대전

   2007년 <센스 앤 센서빌리티> 경기문화재단, 수원

   2007년 <2007 신소장품전> 경기도미술관, 안산

   2001년 <동방의 빛> 예술의전당, 서울

   2000년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인간의 숲·회화의 숲’ 광주비엔날레 야외전시장, 광주

 

 

지원금 수혜 및 레지던시

   2008년도 경기문화재단 우수작품창작발표활동 선정사업

   2007~2008 <난지미술창작스튜디오> 제2기 입주작가, 서울시립미술관

 

 

작품 소장처

   국림현대미술관, 미술은행

   사비나 미술관, 서울  

   프랑스 텔레콤, 파리

   경기도 미술관, 안산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