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ksoon Yim
任直淳 임직순
Information
Jiksoon Lim is a person who has lived along the Korean contemporary art for a long time. He actualizes his record on a flat space like an artist, shifting his objects of cognitions from modern to contemporary. Moreover, his method of painting is conceptual which leads to a conceptual approach to the artistic world-building. Not to mention that the term concept is an artistic attitude based on naturalism that affirms the natural form to the end. In this way, the fact that the artist has his artistic root in the nature is the result of the inherent constitution being natural. He is trying to recreate the mystery and beauty of nature with all the powers that human beings can express to transform the nature, the work of God, into human art.
The artist is a type of person searching for infinite internal transformation in a simple subject consciousness rather than various themes or an outward theme. His artistic world is pretty versatile, a different scene or a different theme and newness comes out as you see it more than once. It is because the artist is some sort of an explorer of beauty who is searching for the strange secret of the object or the identity of the mysterious nature and repeating the new formative experiment based on all the observations. When I look at the works of the artist Jiksoon Lim, I feel familiar. It invites warm feelings in the mind of the viewer and gives a kind of satisfaction. It is his work that induces comfortable and stable psychology rather than tense or imminent feelings.
The work of Jiksoon Lim is empathetic and tasteful. The fact that there is empathy results in a purifying action in the mind through the act of seeing, and a refreshing feeling of life through such purification. The taste means that you feel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the act of seeing and reaching deep harmony through such satisfaction. Such feelings towards Jiksoon Lim is generated from the fact that the artist looks at nature, interprets it and creates art that has a meaning towards nature, all of which constitute to moving the viewers in a profound and serene way.
화가 임직순은 오랫동안 한국의 현대미술과 더불어 살아온 사람이다. 그의 인식의 대상에는 근대에서 현대로 옮겨지는 역사적인 과정에서 미술가답게 그의 기록을 평면 위에 실현하고 있다. 더구나 그의 회화의 방법은 철두철미 구상적이기 때문에 우선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이 구상적이다. 구상이란 말할 것도 없이 자연주의에 기반을 둔 예술적 태도로서 끝까지 자연형태를 긍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화가 임직순의, 예술작품의 뿌리가 자연에 있다 함은 본질적인 체질이 자연적이라는 데서 오는 결과이다. 그는 자연의 신비와 아름다움을 인간이 표현할 수 있는 모든 힘을 동원해서 재창조함으로써 신의 작품인 자연을 인간의 작품인 예술로 전환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는 것이다.
화가 임직순은 다양한 주제나 외양적인 주제보다는 단순한 주제의식 속에서 무한한 내적인 변모를 탐색하는 타입의 사람이다. 언뜻 보기에는 한결같은 장면이거나 주제이건만 보면 볼수록 다른 맛과 새로움이 돋아나는 것이 그의 작품 세계이다. 그것은 화가 임직순이 물체의 기묘한 비밀이나 신비로운 자연의 정체를 찾아서 온갖 관찰을 토대로 해서 새로운 조형 실험을 거듭하고 있다는, 일종의 미의 탐색자이기 때문이다. 화가 임직순의 작품을 보면 언제나 정다운 생각이 든다. 그것은 보는 사람의 마음속에 따뜻한 심정을 불러일으키고 일종의 만족감을 갖게 한다. 긴장되거나 절박한 감정보다는 편안하고 안정된 심리를 유발하는 것이 그의 작품이다.
화가 임직순의 작품은 정이 있고 맛이 있다. 정이 있다는 것은 본다는 행위를 통해서 마음에 정화작용이 일어나고 그러한 정화작용을 통해서 흐뭇한 생명감을 낳는다. 맛이 있다는 것은 본다는 행위를 통해서 심리적인 만족감 을 느끼고 그러한 만족감을 통해서 깊은 조화에 이른다는 의미다. 이와 같은 임직순의 작품에 대한 느낌은 바로 화가 임직순이 자연을 바라다보고, 자연을 해석하고, 자연에 의미를 준 그 창조행위가 우리들에게 깊고도 고요한 감동을 주기 때문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