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GALLERY

  Founded in 1978, GALLERY YEH stands amidst the Korean gallery history and shows the main trend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Commencing its journey from Insa-Dong in which the Korean galleries began to form, GALLERY YEH moved to Gangnam in 1982 and became the first gallery in the history of Gangnam. Downtown Gangnam and Garosu-Gil, where the gallery is located, is the hub for art, culture, fashion, food and design where visitors experience Seoul’s dynamic culture. Even before the name Garosu-gil was established and subsequently became a symbol of such culture, GALLERY YEH as a forerunner has endeavored for sharing fine art culture with the general public.

 The gallery building, reminiscent of a gigantic canvas, received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ward in 2006, the Korean Architecture Award and the 24th Seoul Architecture Award in 2006, and the AR Award for emerging Architecture in 2007, a world-class architecture award and the highest honor for young architects. The gallery space, composed of three stories(462㎡), is designed for displaying various genres of contemporary art and attracts people from all around the world as cultural attraction.

GALLERY YEH is attempting various activities encompassing not only exhibitions in the gallery space but also international curatorial exhibitions, collaborations with global companies and installations of public art works. As GALLERY YEH has been consistently trying to develop the Korean art community for 45 years, we promise to deliver our best with a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working with renowned contemporary artists as well as young, talented artists with global networking. We will continue to thrive to introduce the Korean contemporary art all around the globe and hopefully grant the opportunity to appreciate Korean art to as many people as possible.

 

  1978년에 설립된 예화랑은 한국 갤러리의 역사와 함께 하며, 근 현대 미술사의 중요한 흐름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갤러리 문화의 시발점 이었던 인사동에서 출발하여1982년 강남 지역에서는 처음으로 오픈 한 갤러리가 되었습니다. 서울 도심 속 강남문화의 시초를 연 예화랑은, 현재 문화, 패션, 푸드, 디자인의 중심이 된 “가로수길”이란 말이 있기 전부터 이 곳에서 순수예술의 대중화를 위하여 노력해 왔습니다.

거대한 캔버스를 연상시키는 예화랑 건축물(2005년 장운규 건축가_ 건축가 그룹운생동)은 2006년 한국건축가협회상, 2006년 한국건축문화대상, 제 24회 서울특별시건축상 2007년 젊은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최고 영예이자 세계적인 건축상 AR 어워드를 수상 하였습니다. 1,2,3,층으로 이어지는 시원한 전시 공간 (462㎡)은 현대미술의 다양한 장르를 소화 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으며, 서울의 문화명소로 전세계인들을 모여 들게 하고 있습니다.

예화랑은 갤러리 전시 이외에도 영역의 넓혀 국제적인 전시 기획과 기업과의 다양한 콜라보레이션, 퍼블릭 아트 워크 설치 등 다양한 활동을 시도 하고 있습니다. 45년간 한결같이 한국 미술 발전을 위해 노력 한 것처럼 앞으로도 꾸준히 글로벌 네트워크를 실현 하면서 전문성을 가지고 중요한 예술가들과의 조우와 젊고 장래성 있는 작가들의 발굴에 힘쓸 것이며, 대한민국 미술이 세계문화에 영향을 일으키며 더욱더 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새로운 도전을 이루어 나갈 것 입니다.

INTRODUCTION

introduction_english
introduction_korean

STRUCTURE

Making Urban Canvas
structure01.jpg

 The Gallery Yeh building, reminiscent of a gigantic downtown canvas, is the product of one-year’s extraordinary involvement only in design by architect Jang Yoon-gyoo (representative of architect corporation Unsangdong) and Gallery Yeh. Based on the concept that an exterior wall may be a two-dimensional space, the building enables visitors to have a new spatial experience. A three-dimensional architectural structure can be a three-dimensional sculpture with infinite potential: a unique exterior wall and spatial structure arouse curiosity of art fans who visit the gallery. 

 Gallery Yeh reopened in 2005 in this new building. Since then the building has been in a focus of attention, winning the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Award, Korean Architecture Award, the 24th Seoul Architecture Award in 2006, and the AR Award for emerging Architecture in 2007, an international architecture award and high honor for young architects. Recently, more art lovers and ordinary persons who are interested in architecture visit the gallery

 According to Yoon Gyoo Jang (Principal of USDSPACE 韻生同 Architects), enormous urban <canvas> has been attempted through the project <Gallery YEH>, <Canvas> is the wall of the building as well as a piece of experimental artwork that indicates a sign of the upcoming change of the new gallery. If typical canvas can be thought as two-dimensional medium, the canvas we have developed for the gallery is the spatial skin developed out of the new code found between the floor plan and the three-dimensional medium. Two-dimensional aspects of the wall have now become the opportunity to deform into space. Such work is similar to searching for the new generation of space out of structure between the folded and smooth, continuous skin. <Spatial skin of the fold> indicates the process of generating multiple layers hidden behind the single layer of the architectural skin. Skinscape can be initiated by simply acknowledging urban fabric as rather the envelope structure. Looking at the city as an enormous folded surface, continuous and sequential.


 <Skinscape> can be said an experimental text attempted by combining the architectural skin and the loose meaning of the term <scape>. It is organized through the formula of skin plus other elements and layers as variable? Skin plus structure, skin plus space, skin plus program and etc. Then we can imagine its physical deformation. Process of finding the new spatial model is closely linked with <Skinscape>, with its variables possible to be maximized by removing the excessive spatial elements or adding up more spatial ‘fat’. The concept applied in <Gallery YEH> can be categorized as <Spatialization of Skin> and/or <Mediazation of Skin> - screen for the skinscape can be the medium to provide exhibit information as well as the huge canvas attracting outside events. Space for the skinscape offers unique spatial experience of puncturing through multiple layers of skin, in which each of its layers comes as different spatial quality. <Spatial Surfing>, <Skin Surfing>, <Pictorial Surfing>, <Organization Surfing> are some of the codes appearing along such experience, while each surfing twists and intertwines to create spatial complexity as a whole.


 Like <Crack of Armor>, skin is not the surface that envelopes the space, but is bound by air that is light material and metaphorical interpretation and irony behind the new possibilities of space. The framework of heaviness is gained through the lightness; the quality of the skin is linked with the possibilities of creating gaps, so thus the space become enriching experience of discovering the hidden layers of logic and ivory.

 도심속의 거대한 캔버스를 연상시키는 예화랑 건축물은 장윤규(건축가 그룹 운생동 대표)와 예화랑이 이례적으로 설계에만 1년여의 시간을 넘게 투자한 성과물이다. 외벽이 하나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는 개념으로 설계해 외벽 사이 공간에서 새로운 시야를 경험하게 만든다. 입체적인 건축은 벽이면서 동시에 무한한 가능성을 표현하는 입체 조각물이기도 하다. 특이한 외벽과 공간 구조가 예화랑을 찾는 미술애호가들의 호기심을 먼저 자아낸다. 

 2005년 이 건축물로 이전, 예화랑 재개관 이후, 2006 한국건축가협회상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2006 한국건축문화대상 (Korean Architecture Award), 제 24회 서울특별시건축상 (Seoul Architecture Award)을 수상하였고, 2007년 젊은 건축가에게 수여하는 최고 영예이자 세계적인 건축상 AR 어워드 (AR Award for Emerging Architecture)도 수상할 만큼 빼어난 건축물로도 주목받고 있다. 근래 들어서는 미술애호가뿐 아니라 건축에 관심 있는 일반인들의 발길도 부쩍 늘고있다.

 건축가 장윤규가 말하는 예화랑 건축물은 스킨스케이프는 건축의 요소인 ‘스킨’과 총체적인 틀을 의미하는 ‘스케이프’가 결합했을 때의 가능성을 만들어보는 실험적인 텍스트다. 스킨과 다른 요소들의 결합에 의해서 스킨스케이프는 구성된다. 스킨과 구조와의 결합, 스킨과 공간과의 결합, 스킨과 프로그램과의 결합 다른 조합과 복합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변형을 우리는 상상할 수 있다. 새로운 공간적 모델을 찾아가는 작업과 맞물려있는 스킨스케이프는 공간의 군더더기를 제거하거나 군살을 결합하는 방식을 최소화함으로써 변위의 폭을 최대로 증폭시키고 있다. ‘공간적 서핑’, ‘스킨적 서핑’, ‘풍경적 서핑’, ‘서로 다른 구조의 서핑’ 등의 코드가 연속적으로 엇갈리며 복합체적인 공간을 구성한다. 스킨을 물리적인 코드로부터 변환시키며, ‘스킨이 공간되기’, ‘스킨이 미디어되기’ 등의 일련의 작업을 대체한다. 들뢰즈가 이야기하는 주름진 표피와 매끈한 표피의 연속성 속에 존재하는 창조적 탄생의 구조를 발견해 내는 작업과도 같다. 이렇듯 예화랑에 적용된 스킨스케이프의 개념은 ‘스킨이 공간되기’라 볼 수 있다. 스킨스케이프의 막은 전시의 정보를 제공하는 미디어가 되어 외부전시를 이끄는 거대한 캔버스가 된다. 스킨스케이프의 공간을 여러 겹의 스킨을 관통하는 특이한 공간 경험을 제공한다. 사람들은 이 공간 사이를 경험하며 벽 속에 숨어 있는 새로운 공간을 발견한다. 스킨 사이의 틈새는 가능성과 연관되고 다시 틈새의 스케이프를 만드는 방식을 제안하고 그 안에 숨겨진 공간적 풍부함을 도출하는 것이다.

structure_english
structure_korean

장윤규 건축가 스스로의 건축을 개념 건축이라는 표현을 하였습니다. 그것을 실현한 건축물이 바로 예화랑이라고 말씀하십니다. 예화랑을 통해 전 세계 미디어의 관심이 많았는데요. 장윤규 건축가의 인생 건축 1위 예화랑에 대한 생생한 인터뷰

VIEW
빌딩 도면.JPG
FLOOR PLAN
DETAIL OF 1ST FLOOR

HEIGHT : 4,000mm

1F.JPG
DETAIL OF 2ND FLOOR

HEIGHT : 3,000mm

2F.JPG
DETAIL OF 3RD FLOOR

HEIGHT : 3,000mm

3F.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