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mb Eung Sik
: Ars Photographica
2024.11.09-2025.01.24.
ars photographica
The Latin word ars and provides the etymological root of the English word art. It is also the name that photographer Limb eung sik gave to his studio in Busan in 1946, then the capital for refugees during the Korean War. In the narrow sense of the word, art is the aesthetic expression born to the ceaseless training of human technique, and in its wider sense, all creative human endeavors. This word indeed captures the gist of Limb eung sik’s life. His ars and his passion for photographica become more pronounced as we follow the history of his artistic career and life.
Limb eung sik experienced both the Japanese occupation and liberation, and saw the Korean War through both his eyes and his camera lens as a war correspondent. Such an experience led him to advocate for a style called ‘everydaylife realism’ that captures the essence of reality as it appears to us. ‘Everydaylife realism’ embraces his will to not only record ‘reality’ but also the ‘everyday life’ of the people amidst the historical and social turmoil. Bare Tree, a work introduced in Photography Annual in 1955, captures the gist of his philosophy of photography that “its life comes from capturing the truth in the least expected moments. That is the power of photography. Photography must breathe with the epoch.” The image of a seemingly impoverished boy standing alone between the bare trees exposes the destroyed, desolate post-war society. The choice of the title, Bare Tree, over ‘Burnt Tree’, however, shows the artist’s hopeful perspective and longing for a better future in which the boy will grow up to be a man and the trees will sprout new leaves again.
A Photographic Artist, Not a Photographer
Limb eung sik lived in a time when photography was predominantly a profession, not art. Limb’s passion for photography as art fueled him to organize the ‘The Photo Artists Society of Korea’ in 1952 and join the Federation of Artistic & Cultural Organization of Korea, overcoming prejudices and misunderstandings against photographic art. After 12 years of hard work and perseverance, Limb would finally see ‘photography’ recognized a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He also exchanged correspondence with Edward Steichen, a legendary photographer of the United States, to organize and host The Family of Man at the Gyeongbokgung Palace Art Museum in 1957, which saw 300,000 visitors over the course of a month. This is a historic moment that elevated photography to the realm of art. His endeavor extended to academia where he helped universities open Photography majors, taught, and concurrently went on photoshoots every day as if he was “in a marathon”. Works like Myeongdong Landscape, which shows the 50 years of history of Myeongdong from the ruins of war to the capital of trend and fashion, Allure, a record of 150 major figures in his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scene, and High Architecture of Korea that wished to introduce Korean architecture such as the Gyeongbokgung Palace, Jongmyo Shrine, and the Secret Garden (Piwon), will be forever remembered as the important milestone of Korean photography.
70 Years of History in 5 Minutes
The aim of this exhibition is to convey the essence and the gist of Limb’s life and career as a photographic artist, who began his journey as a photographer in 1931 and remained a photographic artist until he passed away in 2001. The 70 years of his life were full of ceaseless effort to pronounce the significance and artistry of photography.
Even if we collect all 80,000 photographs that Limb took over the course of 70 years, the time he spent to open the shutter and capture the moment is less than 5 minutes. However, this seemingly short period of time is the concentration of his righteous and warm perspective of the world in which he struggled to truthfully capture our existence and the life that lies beyond. Even when he took a photograph of a corner of a street, he wished to convey the story of the street; his photography of architecture was focused more on the narrative of tradition and history. A single photograph, to him, meant a coexistence of the beauty of raw, brute reality and the vibrant vitality underneath. Even several decades later, his photography moves us in the most profound sense.
We cordially invite you to join us to feel the eternal trace of Limb eung sik, a marathoner photographer who ran alongside the rapidly changing modern history of Korea.
임응식
(b. 1912-2001)
Limb Eung Sik
아르스 포토그라피카
아르스(ars)는 예술을 뜻하는 라틴어로 영어 art의 어원이 되는 단어입니다. 사진가 임응식은 1946년 피란 수도였던 부산에서 연 그의 사진 현상소에 ‘아르스(ars)’라는 이름을 붙이고 사진가로 활동했습니다. 좁게는 인간의 기술의 연마를 통한 미적 표현, 넓게는 인간의 창조적인 모든 활동을 뜻하는 ‘예술(ars)’이야말로 임응식의 삶 그 자체를 관통하는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그의 예술(ars), 그리고 사진(photographica)을 향한 열정으로 가득 찬 삶의 궤적을 따라갈수록 더욱 그렇게 느낍니다.
일제 강점기와 해방이라는 굴곡진 역사를 겪고, 한국전쟁 때 종군 사진기자로 활동하기도 했던 임응식이 ‘생활주의 리얼리즘’이라 부르는 사진들은 당시 그가 처한 참혹한 현실을 꾸밈없이 담아냈습니다. 이는 현장을 ‘리얼하게’ 기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그 안에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깊이 있게 담아내겠다는 의지였습니다. 1955년 미국 사진연감(Photography Annual)에 수록된 작품 <나목>은 “사진의 생명은 예기치 못한 상황에서 진실된 순간을 포착하는 것이다. 그것이 사진의 생명이고 힘이다. 사진은 시대와 함께 호흡하는 것이다”라고 했던 그의 신조를 보여주는 역작입니다. 앙상하게 불타버린 나무 사이에 홀로 서있는 소년의 남루한 모습은 전쟁의 피폐한 사회상을 그대로 드러냈으나, 그는 불타버린 ‘고목(枯木)’이 아닌 그저 잎이 떨어진 ‘나목(裸木)’이라고 제목을 붙여, 소년이 어른으로 자라나고 나무는 다시 이파리가 돋아날 미래를 꿈꾼 그의 따뜻한 시선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진’사’가 아닌 사진’작가’로
사진을 찍는 사람은 그저 ‘사진사’로 불렸던 시절 임응식은 예술을 한다는 자부심으로 1952년 ‘사진작가협회’라는 이름의 협회를 결성했고, 사진예술에 대한 편견과 오해를 딛고 전국문화단체총연합회(문총)에 가입했으며, 이후 12년에 걸친 고난 끝에 대한민국미술전람회(국전)에 사진 부문을 개설했습니다. 또한 그가 1957년 미국의 전설적인 사진가 에드워드 스타이켄(Edward Steichen)에게 직접 연락한 끝에 경복궁 미술관에 유치한 <인간가족전>은 당시 30만 명이라는 천문학적 관람객을 모아 사진의 예술성에 대한 인식을 높였습니다. 이후에도 그는 대학의 사진 전공 개설에 힘을 보태고 후진을 양성하면서도 매일 ‘마라톤을 하듯’ 거리를 누비며 사진을 찍었습니다. 그의 전쟁 이후 폐허에서 유행의 집결지로 변신하기까지 명동의 50년 변천사를 보여주는 <명동점경(明洞點景)>, 문화 예술계 주요인물들 150여 명의 얼굴을 담은 <풍모(風貌)>, 경복궁과 종묘, 비원 등 한국의 전통문화유산을 알리고자 했던 <한국의 고건축> 등은 모두 우리 사진 역사의 소중한 보물로 남을 것입니다.
5분에 집약된 한국사진 70년의 역사
이번 전시는 그가 1931년 사진가로 첫 출발을 한 이후, 2001년 지병으로 타계할 때까지 70여 년간 쉼 없이 달려온 임응식 사진 인생의 뚜렷한 호흡의 순간을 모아 보여주고자 합니다.
임응식이 평생에 걸쳐 찍은 사진 8만여 장을 다 합쳐도, 셔터가 열려 가시 공간을 고정시킨 순간은 5분도 채 되지 않습니다. 그 5분의 순간은 인간과 그 이면의 삶을 진실되게 표현하고자 노력한 그의 올곧고 따뜻한 시선이 집약되어 있습니다. 거리의 한 모퉁이를 찍더라도 그 거리에 서려 있는 이야기를 담고, 건축물을 찍으면서 그 안에 담긴 전통과 역사를 표현하고자 했던, 날 것 그대로의 아름다움과 넘치는 생명력을 담은 한 장의 사진은 수십 년이 지난 오늘날 우리의 마음에도 깊은 울림으로 다가옵니다.
격동의 시대와 함께 달려온 사진의 마라토너, 임응식의 영원한 발걸음을 함께 느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르쓰 현상소, 부산 광복동.
ARS Photographic Studio in Gwangbokdong, Busan.
1946년 임응식은 도쿄 일본물리탐광주식회사에서의 근무를 마치고 고향 부산으로 돌아와 사진현상소 '아르스'를 열었다.
'아르스'에서 그는 사진재료 판매 및 사진 현상을 하여 생계를 꾸리면서, 사진예술 연구회인 부산광화회를 조직하여 사무실로 겸했다.
1947년 부산광화회는 부산예술사진연구회로 개칭하여 임응식은 회장으로 역임하며 사진을 배우러 온 사람들을 가르치며 사진촬영대회를 열고, 회지 아르스 사진뉴스를 발행하는 등 부산의 사진예술을 이끌었다. 1952년에는 서울에서 피란온 대한사진예술연구회 회원들과 합동전시를 부산에서 열기도 했다.
In 1946, Limb finished working at the Nippon Geophysical Prospecting Company
Limited in Tokyo to return to his hometown Busan and open a photographic studio named <ARS>.
At the studio, he not only made a living by selling various materials for photography and developing photos,
but also organized the ‘Busan Gwanghwahoe’, an art photographers society in Busan, and used the studio as their main office.
In 1947, the ‘Busan Gwanghwahoe’ changed its name to the ‘Busan Artistic Photography Research Association’, with Limb as the first president.
As a president, Limb taught those who came to learn photographic skills, organized photography competitions, and issued <Ars photography news> to lead the photographic art in Busan. He also hosted a joint exhibition in Busan with the Daehan Photographic Art Research association members who came to the city seeking for refuge.
Artist: Limb Eung Sik
Date : Nov. 9th (Sat.), 2024 - Jan. 24th (Fri.), 2025
Opening Reception: Nov. 9th(Sat.) 14:00~ 19:00
Venue : GALLERY YEH l 100, Changdeokgung-gil, Jongno-gu, Seoul, Korea
작가: 임응식
전시기간 : 2024.11.09.(토) ~ 2025. 01.24 (금)
오프닝 행사 : 2024.11.09.(토) 오후 2시 ~ 오후 7시
장소 : 서울시 종로구 창덕궁길 100, 예화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