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wang-Seop Oh

오광섭 (b.1955)
Information

My Sculpture, My Life
November 2003
Written by Kwang-Seop Oh


    I was born in Incheon and lived until I was a teenager in a quiet, rural village at the foot of Mount Subong, near the University of Incheon train station. Looking back on my childhood, I cannot imagine my isolated life in the country without nature. In those days, because there were no electronic games or toys to play with, nature was my best friend and my playground. However, the railroad, the cemetery, the orphanage, and the poor neighbors around me did not allow me an altogether happy childhood. My child’s heart was filled with sadness and pity at many sights and sounds, such as the carrying out of the bier that I witness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from time to time, the trains that arrived and parted twice a day with its loud honks, and the sorrowful look on the face of the orphans and the poor neighbors.


     Uncommon surroundings, such as these, were not foreign to me, who was born and grew up in the area; in fact, it provided a splendid setting for a child’s imagination. As soon as school got out, I would throw my school bag inside my front door and did not come back home until the sun was completely setting, playing all day. Therefore, what served as an integral background for my work was not only nature but also the circumstances that were conducive to my premature philosophical musing; all this, as well as the poignant memories of my childhood, strongly pervaded my entire corpus of work. Moreover, the abyss of sorrow that began to be part of me was formed when my family moved to a crowded city and I had to enroll in middle school, where I could not fit in and became a loner. Because of my father’s constant job changes, we had to move around a lot, which made it very difficult for me to develop a friendship with anyone, not to mention, how I was forced to withdraw from school shortly after moving to Seoul because of a lack of money. From then on, having had to rely solely on myself, for I had no friends and was alienated from my surroundings, ironically, the pain and the loneliness from that experience was what cultivated my artistic sensibility and individuality. I cannot recall since when the recollections of my innocent days were pushed to the periphery of my memory and, like nature, was replaced by all the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that took place at the time, and the urban values, which are all about competition, had taken root in me.

     I was feeling very cynical about myself for having blindly become that way, but having failed at being tamed like everyone else I was gradually turning into a lonely and acerbic outsider among most people who were living a life, faithfully adhering to the social conventions and trends. Meanwhile, I discovered my passion and proclivity for sculpture at the university that I managed to enroll in, with great difficulty; however, the language of visual representation that was then available to me could not satiate my hunger and thirst for a new vision. Abstract art, which purportedly trumpeted a higher logic and philosophy, was like a reality that was far removed from life and could not set my heart ablaze; seeing works that appeared more like drafts in exhibitions did not inspire me in the least. But then simple representational works turned me off even more, for they appeared very much like copies of other people’s work, not to mention amateurish. I was too artistically famished to be part of a scene that neither inspired me nor with which I could commune.

     Amidst my frustration in which I could not see any alternative way, I set off on a journey for Italy with the yearning to find a more diverse world. Indeed, it was here that I was able to gratify all my senses. The first thing I did was to seek out each and every foundry and stone workshop of the artists, in an endeavor to explore the language of form, which I carried out with a great zeal and a “beginner's mind.” It was only through this kind of effort that I was sure I would make it as an artist. What was particularly striking to me was that there was a wide variety of expression on the representational side, and I felt a kind of prescience, like I could find my visual voice there. In contrast to my past school days, it propelled me to get busy with my hands, and I put in all my energy and effort into cultivating my own individuality and forms that were intricately linked to the life I have lived and the things I’ve experienced.

     Since I had already reached an advanced level in the language of form with clay works, I was all the more quickly able to put my ambition into practice with the discovery of beeswax, a material that is quite simple and easy to use. Moreover, the process of casting beeswax, which I saw for the first time at a workshop, was very intricate and absolutely refreshing, thereby greatly appealing to me. Marble, which was commonly used at these places, by its nature, is not a forgiving material and required methodical and extensive training; therefore, I decided to acquire just the basic skills; it was a decision I did not regret for I was deeply enamored with the material called beeswax. The small amount of wax that I obtained from the workshop excited me to no end, especially when I discovered that its intrinsic qualities of being able to be attached and detached, cut and burned, and capable of detail and large scale, which brought out my latent artistic sensibility. It was indeed a material that provided me with a breakthrough at a time when aspirations for my own visual form were at its zenith.

     During a period when my spirit was yearning for originality, the shapes of insects and bugs, which I created in the late autumn of 1984, blissfully took me back to my childhood; and my hands which had become more adept and free were producing sculptural pieces that were reminiscent of theatrical settings, in which I was able to inject a unique story into each and every piece. Undoubtedly, nature and things from nature and around me, expressed by way of my hands, have taken on the role of a spokesperson who is delivering a critical and metaphorical message of many stories that are embedded in the framework of modern culture, such as humankind versus nature; furthermore, instead of speed and time, the European ethos of spatiality and leisureliness are also instilled in my works. The pastoral landscape of Italy had a great influence on my early works in that it helped to elicit memories of my childhood that were stored in the recesses of my mind. My studio and the school, the workshops, and small towns like Carrara and Pietransanta in Tuscany, which offered idyllic sceneries, were the bases of my artistic creativity and the matrix of my artist spirit.     

     For several years I was able to immerse myself in a project through which I could solidify my identity as a sculptor. The confidence I gained from this period is what made it possible for me to live as a sculptor and I cannot imagine myself doing anything else in my life but sculpture. After returning to Seoul, I chose to spend the next ten years, being faithful to my isolated but autonomous self. However, from the latter half of the 1990s, an extremely difficult period for almost everyone in Korea, I felt as though doing art was a gross extravagance, with every day being a continuation of suffering. During a time period when a human life felt like a consumer product or an accessory in society, making a living for sheer survival was an invaluable experience in that I rediscovered the purpose and meaning of art. Passing the long and dark tunnel, I developed inner strength and learned a valuable lesson that art was my raison-d’être — that a life of conformity was not how I wanted to choose to live. But then, when I strove to create work in accordance with my ideals of the purity and goodness of human beings, ironically, expressions of jealousy, greed, arrogance, and hypocrisy also came to the fore. Although my life was impecunious, I tried my utmost to safeguard my fidelity to sincerity and truth. Having rediscovered my “true self” in this vein, I have prepared the current exhibition, starting with casting as though I am setting out to complete all the “homework” that I have procrastinated, in order to apply all my creative passion that there is in me. This exhibition marks a new and special juncture for me in that instead of disconnected sculpture constituting several different pieces, I have set up a narrative stage where one or two works form an organic unity, along with a little sub-exhibit entitled “A small Sculpture show” that will show a series of works I’ve been working on for a long time. As in the past, I’ve tried to inject original and abundant energy into each piece, staying true to my artistic principle of always creating something new for every work.

     Like everyone else, I live in the present era. If everyone is struggling with the same problems during this difficult period, then art can but be only a slogan. The art spirit must be a common denominator for those who are genuinely in search of an authentic identity as artists. For someone like myself who is comfortable being alone, partaking in the communal spirit is absent in my life; however, that deficiency is the price I have to pay in order to safeguard an independent view and my philosophy of art. That is because what artists are more in need of in this day and age is originality that is derived from heightened intuition, and not senses that have been dulled over time from indifferent tolerance.

     I can finally say it — why there’s a need for more artists who have mastered their craft and who are devoted to their calling and can speak out against the uniform way of thinking that is rampant in today’s world. Is it too much to ask for artists to be able to solely commit their life to art and be recognized for their artwork that reflects this commitment, and hope that this becomes the norm in an artists’ community? The Korean art community is where the mob rules over the artists who stake their lives for the sake of art; an apathetic society that settles for haphazard resolutions; a society that lacks a philosophy of art or provides any impetus for creativity; a society where mentors are nowhere to be seen or heard, therefore any kind of criticism on such matters is viewed as petty talk. Such a person comes off as a fool, hence it does not seem like a bad idea to perhaps live a slight distance away from this arena.

     At times, twenty-four hours a day is not enough time for total immersion in art. Agonizing over the limitation of time, but still I am elated at the moment of creating something out of nothing. What I would like to relish ever more are challenging myself with detailed expression and the precise density, the hand-eye coordination when modeling my own unique form, focus of heart, transcendence, and the wonder of experiencing self-dissolution. I have always confronted and overcome the perpetual issue of having to always create something that I could claim solely as mine. The realm of self-enlightenment, which only happens to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eir raison d’être, is immense and infinite freedom is ensured. With a deeper appreciation for my instinctive nature and independence, and in order to cultivate and fulfill what remains of my creative aspirations, I would like to be near nature while maintaining a leisurely but introspective distance from city life. Although I find any other way of life somewhat uncomfortable, it is yet a solace to me that I have not lost all my interest and affection for people whom I do go out and meet from time to time.

     Struggling with metal and fire, even at the present, I glimpse the quintessence of passion. Witnessing how even the seemingly immutable cast iron gets dissolved, in spite of itself, in the flame, I am defying the undefiable. I denounce the conventional mores of our society in pursuit of commodified values and all that is not artistic. Because I want to be an artist.

     I love the wild yellow flowers that are in blossom in the garden by the corner of my studio. Even if no one knows the name of this flower, it will nonetheless leave behind its seeds, promising another season of blossoms in the following year. With a kindred spirit, I shall evermore remain as sculptor Oh Kwang-seop.


November 2003
Icheon, Gyeonggi Province
 

나의 조각, 나의 삶
2003년  11월
조각가 오광섭


  태어나서 사춘기가 될 무렵까지 나는 인천 제물포역 근처의 수봉산 아래 한적한 시골마을에서 자랐다. 코흘리개 때부터 초등학교 시절 동안 한 번도 벗어나본 적이 없는 고향에서의 어릴 적 모습을 회상하면 자연을 빼고는 생각할 수가 없다. 그 당시만 해도 달리 놀 방법이나 도구가 없었던 지라 나에게 자연은 가장 친한 친구이자 놀이터였다. 하지만 자연과 함께 지척에 있는 기찻길, 공동묘지, 고아원, 가난한 이웃 등은 나를 반드시 즐겁고 신나게만 지내지 않도록 어떤 까닭을 제공해 주었다. 하루 한 두 번씩 우렁차게 왔다가 저 멀리 스러져가는 기차와 마을 어귀에서 간혹 나타나는 상여, 고아원과 이웃의 가난한 눈망울들은 어린 마음에도 왠지 아쉽고 서러웠다.

  이런 흔치 않은 주위환경이 그곳에서 태어나고 자란 나에게는 전혀 낯설지 않았고 동심의 배경으로도 훌륭했다. 늘 노는 데만 정신이 팔려 학교수업이 끝나기 무섭게 문지방에 책가방을 던져 놓고 밖에 나가 해가 꼬박 넘어가고 난 뒤에야 집으로 돌아오곤 했다. 이렇게 자연뿐 아니라 어리지만은 않은 철학적인 환경은 훗날 내게 주된 작품의 소재가 되었으며, 그렇게 무한정 뛰어놀던 어린 시절의 안타깝고 그리운 정경들은 지금도 내 작품에 짙게 배어 있다. 또한 그 이면에 자리한 슬픔의 심연은 중학생이 되자마자 사람들이 많이 사는 낯선 곳으로 이사를 가고, 그곳에서부터 적응을 못해 외톨이로 지내면서 시작되었던 것 같다. 아버님의 직업상 잦은 이사로 인해 친구들을 특별히 사귈 새가 없었고, 서울로 올라오자 얼마 안 있다가 집안사정상 학업을 중단하게 되자, 그때부터 스스로에게만 의지하고 친구들이나 주위와도 단절된 채 자란 외로움과 아픔은 아이러니컬하게도 나에게 예술적인 개성과 감성을 키워 주었다. 언제부턴가 그러한 맑은 동심의 모습들은 내 추억의 언저리에 자리 잡게 되었고, 개발우선주의였던 당시의 억압된 자연들처럼 상실되어 갔으며, 상실된 그 자리엔 어느새 무리지어 경쟁하며 살아야 하는 도시의 규격화된 사고들이 들어찼다.

  자성 없이 받아들여진 이런 나의 모습에 스스로 회의적으로 되어가며, 통념과 시류에 따라 사는 대부분의 사회구성원들 사이에서 순치(順治)되지 못한 나는 점점 독립적이고 비판적인 아웃사이더가 되어갔다. 그런 가운데 어렵게 입학한 대학생활에서 나는 조형에 대한 남다른 열정과 재능을 확인할 수 있었지만 주위에서 보여지는 당시의 조형언어들은 한창 새로움에 목마른 젊은 나를 해갈시켜주질 못했다. 허무한 관념으로 마치 차원 높은 논리나 철학이 있는 양 삶과 유리된 모호한 유희(遊戱)의 추상미술은 뜨거운 내 가슴을 덥히지 못했고, 작업실에서나 끝낼 습작 같은 것을 시리즈물로 전시장에 걸어놓고 척하는 빈한한 모습들도 내가 바라는 모습이 아니었다. 그렇다고 평범한 구상은 이미 남들이 해놓은 것을 답습하는 듯해서 아마추어 같고 진부한 느낌이 들어 더더욱 싫었다. 내 스스로가 감흥을 못 받고 교감을 불러일으키지 못하는 이런 흔적들을 좇기에는 정말 너무 허기졌었다. 

  그렇게 활로가 안 보이는 답답함 속에서 더 큰 세계에 대해 직접 두 눈으로 확인하고 싶은 갈망은 나를 이태리 유학길에 오르게 하였으며, 그곳에서 그야말로 눈과 귀, 가슴과 머리 등 온갖 감각을 동원하여 그 주린 배를 채우려 하였다. 작가들의 스튜디오와 주물공장, 돌공장을 두루 찾아다니며 배움의 자세로 첫 걸음을 뗀 유학초기의 나의 이러한 행보는 오로지 나만의 조형언어에 대한 지독한 탐구정신을 가지게 했으며, 그래야만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더욱 절감하게 하였다. 특히 인상 깊었던 점은 구상 쪽의 언어가 다양하다는 것이었으며, 나의 가능성을 그 속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은 예감을 받았다. 새삼스럽지 않은 이 생존의 원칙은 예전과 다르게 나를 철저히 신중한 손놀림을 하게 하였고, 실제적으로 경험하고 느낀 나의 삶과 밀접한 나만의 개성과 조형성을 찾는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게 하였다.

  이미 점토작업으로도 성숙된 조형성을 이룩한 나는 얼마 후 재료면으로도 밀랍이라는 손으로 만지기에 무척 용이한 재료를 발견하여 가일층 집념을 빠르게 실현시킬 수 있었다. 또한 미술주물공장에서 처음 본 밀랍주조는 공법자체가 완전히 새로웠고 정밀해서 처음부터 나를 매료시켰다. 그곳에서 흔히 하는 대리석 작업들은 재료의 특성상 실수를 허용치 않는 재료이기 때문에 매스에 대한 치밀하고 풍부한 경험이 축적될 때 하면 좋을 것 같아 기법적인 것만 배우고 그 이상은 훗날로 미루었다. 그러한 결정이 후회가 안 될 정도로 난 밀랍이란 재료에 흠뻑 빠져들었다. 주물공장에서 처음 얻어온 소량의 밀랍은 나를 흥분시켰고, 내 속에 잠재된 감수성을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는 특성-붙였다 떼어내고, 자르고 지지고, 가늘게 혹은 굵게 마음대로 세세한 표현까지 가능한-도 가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조형에 대한 무한한 승부욕을 가졌던 그 시절 나에게 돌파구를 찾아준 참말로 고마운 재료였다.

  새로움에 대한 열망으로 가득 찼던 그 시절, 1984년 늦가을께부터 내 손에서 빚어 나오기 시작한 벌레나 곤충의 형상들은 나라는 존재를 어렸을 적 추억 속으로 인도하는 것 같은 환희를 느꼈으며, 그 위에 다시 살이 붙고 한결 자유로워진 내 손의 놀림은 연극과 같은 상황을 연출한 조각들을 낳았고, 작품 하나하나마다에 독특한 이야기와 개성을 이입시킬 수 있었다. 자연히 내 손에서 가감되어 나타나는 주위의 사물과 자연들은 인간과 자연, 그리고 현대 문명의 틀 속에서 상정될 수 있는 많은 이야기들을 내포한 은유적이면서도 비판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대리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으며, 속도와 시간보다는 공간성과 여유를 느끼게 해주는 유럽적인 정서가 그 속에서 우러나왔다. 내 뇌리 속에 잔존하는 어릴 적 추억이 묻어나올 수 있도록 고즈넉한 이태리의 목가적인 풍경은 실제로 나의 초기 작업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이러한 풍경 속에 작업실과 학교, 주물공장 등 창작을 위해서는 나무랄 데 없이 이상적인 환경을 갖춘 토스카나 지방의 까라라(Carrara), 피에트라 산타(Pietrasanta) 등은 내 작가정신과 생활의 모태가 되었고 그 근간을 마련해 주었다.

  그 몇 년간 나는 조각가로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작업에 몰두할 수 있었다. 그 때의 자신감은 나를 오늘날까지 조각가로 살게 하였으며, 조각 외에는 다른 직업을 선택할 수 없는 숙명적인 운명을 맞이하게 하였다. 서울에 돌아와서도 10여년이란 결코 짧지 않은 기간 동안 스스로 인도하고 선택한, 고립적이면서도 자립적인 자아에 충실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누구에게도 무척이나 지난(至難)한 90년대 후반부터의 현실은 나에게 예술을 한다는 것 자체가 가혹한 사치였었고, 하루하루의 삶은 고통의 연속이었다. 정말 고삐를 죄고 소모품이나 부속품처럼 살아야 하는 당시의 사회에서 오로지 생활비 마련만을 위해 산 경험은 그러나 내게 무척 값진 것이었고, 예술의 의미를 새삼 깨닫게 해주었다. 그 어둡고 긴 터널을 지나오며 내성(耐性)도 생겼고 예술을 한다는 것이 바로 내 존재이유라는 귀중한 교훈을 얻었다. 마치 시장에서 사 입는 기성복처럼 어줍지 않게 차려입는 그런 일상의 삶은 내 것이 아님을 분명히 느꼈다. 하지만 그럴수록 어쩌다 소망스럽게 한두 점 작품을 할 때면 인간의 순수함, 선함에 대한 그리움으로 시 기, 욕심, 교만, 이중성 같은 반어적 표현들이 묻어나왔다. 생활 자체도 가난해서 쪼들렸지만 가식 없는 진심과 본성에 충실하며 살려고 애썼다. 그런 부침 속에서 진정 ‘나’라는 나를 되찾은 나는 아예 못 다한 작업의 열기를 용해시키려 그간 잔뜩 미루었던 숙제들을 하는 느낌으로 주조부터 직접 시작하며 이번 전시를 준비하였다. 재충전한다는 의미에서 특별하고 새로운 출발점이 될 이번 전시회는 서술적인 상황을 만들어 여러 개체가 등장하는 펼쳐진 조각보다는 한 두 개체가 유기적인 하나의 형태를 이루는 작은 작업을 선보이고, 아울러 오래 전부터 틈틈이 해둔 것을 모아 ‘작은 조각전’이란 부제로 마련하였다. 예전과 마찬가지로 작품 하나하나마다에 새롭고 충만한 생명을 불어넣으려 애썼으며, 진실한 의미의 창작을 위해 한 작품을 끝낼 때마다 새로워야 한다는 나의 일관된 대명제를 지키려 노력하였다.

  난 누구와도 똑같이 오늘이란 시점을 살고 있다.

여전히 어려운 이 시점에서 겪어 내는 삶의 화두가 모두 똑같다면 예술은 구호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진솔한 자기 정체성을 찾는 작가정신만이 예술가들이 공유해야 할 공통분모라고 믿는다. ‘홀로’라는 것에 익숙한 나로서는 더불어 사는 공동체적 의식이 아직도 부족함을 느끼지만, 그 부족함은 독특하고 당당한 예술관을 확고하게 유지하기 위해 희생되어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원만한 관용으로 무뎌지는 타성보다는 예리한 직관으로 날을 세운 개성이 이 시대를 사는 예술가에게 더 필요한 덕목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이제 비로소 나는 얘기할 수 있다. 짜 맞추기 식의 일률적인 사회의 관념들 속에서 자기만의 독특한 시각과 가치관이 더욱 더 요구되는 오늘날, 장인이 왜 더 필요하며 쟁이 같은 예술가가 왜 더 필요한가를. 예술가는 예술가로서 족한 삶이길 바라며, 그 삶이 베어 나온 작품으로서 인정받고 그런 의식이 창작을 하는 예술가 사이에서 보편화되기를 바란다면 그것이 과욕일까? 치열하게 작업하고도 항상 부족한 창작열을 가진 그런 이가 있어도 무리지어 노는 떼거지에 치여 힘없는 소수로 전락한 우리 풍토... 두루뭉실 처신에 바쁜 사회, 예술철학이 없고 신선한 자극이 없는 사회, 예술가로서의 선배가 너무나도 드문 사회, 그래서 이런 비극에 대한 얘기마저 졸렬한 희극으로 치부되는 사회, 그런 향기가 나는 사람은 바보 같고 모가 나 보이는 사회의 현상(現狀)들에서 한두 발짝 정도 떨어져 사는 것도 그래서 여전히 괜찮을 듯 싶다.

  때에 따라서 창작이란 24시간을 모두 바쳐서 해도 부족하다. 그런 부족함을 알며 고뇌해서 탄생하는 무에서 유로 창조되는 순간의 희열을 나는 느끼곤 한다. 정확한 밀도와 세밀한 표현의 한계에의 도전, 나만의 다양한 형태를 빚을 때의 손과 눈, 가슴의 집중, 초월, 떨림과 같은 무아(無我)의 경이로움을 더욱 만끽하고 싶다. 남과 달라야 하는 작품의 존재이유에 대해서 나는 항상 정면으로 부딪히고 극복해왔다. 그러한 자기만의 존재이유를 경험한 사람만이 향유할 수 있는 피안의 세계는 무척 드넓으며 무궁무진한 자유가 보장돼있다. 그 자유 속에서 내가 가진 야성과 독립성을 더욱 소중하게 여기며 키우고 아직도 부족한 이루지 못한 많은 부분들을 남은 생에 조금이라도 더 표현하기 위해, 때론 다른 이의 도회적 삶을 관조하며 여유 있는 자세를 잃지 않기 위해 비켜서서 자연과 함께 호흡하며 살고 싶다. 어쩌다 마주치는 다른 이의 삶이 이젠 너무도 달라 겸연쩍은 내 모습을 더 이상 보이기 싫지만 이따금씩 나만한 그런 사람들이 그리울 때면, 모처럼의 외출로 목과 마음을 적실 수 있는 다정함이 그래도 내 곁엔 있기에 용기를 얻는다.

  오늘도 나는 쇠와 불과 씨름하며 그 속에서 정열의 본체를 본다. 그토록 옹고집쟁이 무쇠도 불덩이 속에서는 어쩔 수 없이 자신을 와해시키는 진리를 보며 바위를 깨려고 달걀을 던지 듯 나는 오늘도 항거한다, 예술적이지 못한 많은 것에, 누구나 대중화된 가치를 추구하는 이 사회의 보편적 통념들을 통박한다, 예술가이고 싶기 때문에.

  작업실 마당 한 곁에 철마다 어느 새 피어있는 이름 모를 노란 들꽃을 나는 사랑한다. 비록 그 들꽃의 이름을 세상 모두가 모른다 해도 작은 씨앗을 남겨 이듬해를 기약하는 그런 마음으로 나는 조각가 오광섭으로 서 있다.


2003년 11월
경기도 이천 작업실에서

Profile

Education

1982 Hongik University, Seoul, Korea : Bachelor of Arts (Sculpture)
1985 Carrara Art Academy, Italy : sculpture major

1985-1986 Carrara Art Academy, Italy : completion of print course

Solo Exhibitions

1982 1st solo exhibition, Arab Cultural Center, Seoul, Korea
1986 2nd solo exhibition, I Plattani Gallery, Montecatini (LU), Italy
1987 3rd solo exhibition,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1990 4th solo exhibition, Gallery Yeh, Seoul, Korea
1995 5th solo exhibition, Gallery Yeh, Seoul, Korea
2003 6th solo exhibition, Galerie Bhak, Seoul, Korea
2009 7th solo exhibition, Insa Art Center, Seoul, Korea
2015 8th solo exhibition, Ellen Kim Murphy Gallery, Gyeonggi-do,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 Project Exhibitions

1982 M.T. Exhibition , Space Gallery, Seoul, Korea
1983 Italian & Korean sculpture and Graphics , Camaiore (LU), Italy
1984 Virgio Bianchi , Viarregio, Italy
1984 Toscana Youth Exhibition , Forte dei Marmi (LU), Italy
1985 10 Korean Sculptors' Exhibition , Rome, Italy
1986 Immagini , Carrara (MS), Italy
1986 Carrara International Art Exposition , Carrara (MS), Italy
1986 Korean Modern Sculpture Group Exhibition , Batangol Gallery, Korea
1987 Korea-Japan Contemporary Sculpture , Art Center, Korea
1988 Present-Figure '88 , Gallery Hyundai, Seoul, Korea
1991 Gallery Art Exhibition , Seoul Art Center, Seoul, Korea
1992 Contemporary Art Preview ,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Korea

1993 Demilitarized Zone , Seoul Museum of Art, Korea
1993 Commemoration exhibition for 15th anniversary of Gallery Yeh, Seoul, Korea
1993 Trace of a Decade , Park Ryu Sook Gallery, Seoul, Korea
1993 Aspect of Korean Modern Art , Pyo Gallery, Seoul, Korea
1996 Art Market San Francisco , San Francisco, USA
1997 Chicago Art Fair , Chicago, USA
1998 200 Sculptors' Small Sculptures , Sun Gallery, Seoul, Korea
2018 First Encounter , Korean Cultural Center Los Angeles, USA
2018 Encounter Korea , Southern Utah Museum of Art, USA
2019 ANCIENT FUTURE: Contemporary Korean Artists Evoking the Past , Robert and Frances Fullerton Museum of Ar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San Bernardino, USA

Awards

1981 National University Art Competition, Korea - Gold prize
1986 Carrara Interational Sculpture Symposium, Italy - 1st place (corecipient)

Collection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Others

1975 Participation in "A Hill of Nostalgia" sculpture project, Korea
1975 Participation in a fountain sculpture project at the Bank of Korea rotary
1976 Participation in a fountain sculpture project at the front gate of the National
Cemetery, Korea
1979 Participation in production of "Eagle", the symbol of Sang-Mu Korea Army
Infantry School
1987 Co-production of horse riding statue of General Euljimundeok project in Eulji Army Unit, Korea
1988 Design for the memorial monument of General Lee Hyeon-Boo from Fierce Tiger Army Unit, Korea
1996 Production of a sculpture for headquarter office of Insung Co.,Ltd., Seoul, Korea
1996 Production of relief sculpture for the lobby of KTB headquarter office, Seoul, Korea
1998 Production of Laurel Wreath in celebration of "Invention Day" from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2000 Consultation of the memorial monument for the UN war dead of Korean War, the War Memorial of Korea
2005 Production of bronze doors and Via Dolorosa relief sculptures for Nonhyun2- dong Catholic Church, Seoul, Korea
2006 Production of the Crucifix for Toegye-dong Catholic Church, Gangwon-do, Korea
2008 Production of symbol sculpture for Gachon University (Medical Campus), Incheon, Korea
2008 Production of Statue of the Virgin Mary and the Pieta for the Passionists (order), Cheongju, Korea
2008 Production of Statue of the Virgin Mary for Nonhyun2-dong Catholic Church, Seoul, Korea
2010 Basic architectural design of Ujangsan Catholic Church, Seoul, Korea
2011 Direction and production of interior renovation project of Cathedral in Jungno Catholic Church, Seoul, Korea
2012 Production of the Rosary ceiling lighting for Ahyun-dong Catholic Church, Seoul, Korea
2014 Production of Sacred Heart of Jesus statue for Banwolseong Catholic Church, Gyeonggi-do, Korea
2014 Production of Via Dolorosa relief sculptures for Juklim Catholic Church, Chuncheon-si, Gangwon-do, Korea
2016 Production of Sacred Heart of Jesus statue for Juklim Catholic Church, Chuncheon-si, Gangwon-do, Korea
2016 Production of Statue of Dr. Hyun, Bong-Hak for Yonsei University Health Care System, Seoul, Korea

주요 학력 및 전문 수업

1982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졸업
1985 이탈리아 Carrara 미술아카데미 조소과 졸업

1985-1986 이탈리아 Carrara 미술아카데미 판화 수업
1983-1986 이탈리아 Luigi Tommasi 미술주물공장 주조 수업

개인전

1982 제 1회 개인전 (아랍 문화원)
1986 제 2회 개인전 (I plattani 화랑, Montecatini di Lucca, Italia)
1987 제 3회 개인전 (박여숙 화랑)
1990 제 4회 개인전 (예 화랑)
1995 제 5회 개인전 (예 화랑)
2003 제 6회 개인전 (박영덕 화랑)
2009 제 7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2015 제 8회 개인전 (엘렌킴머피 갤러리)

주요 단체 ∙ 기획전

1982 M.T 전 (공간미술관)
1983 이태리, 한국조각과 그래픽 전 (Camaiore, Italia)
1984 Virgio Bianchi 전 (Viareggio, Italia)
1984 Toscana 청년작가전 (Forte dei Marmi, Italia)

1985 10인의 한국 조각가전 (Roma, Italia)
1986 Immagini 전 (Carrara, Italia)
1986 Carrara 국제미술박람회 (Carrara, Italia)
1986 한국 현대조각회전 (바탕골 미술관)
1987 한∙일 현대조각전 (미술회관)
1988 현.상 88 전 (갤러리 현대)
1991 화랑 미술제 (예술의 전당)
1992 현대미술 초대전 (국립현대미술관)
1993 비무장 지대 전 (서울시립미술관)
1993 개관 15주년 기념전 (예화랑)
1993 10년의 발자취 전 (박여숙 화랑)
1993 한국현대미술의 단면전 (표 화랑)
1996 샌프란시스코 아트페어 (샌프란시스코, 미국)
1997 시카고 아트페어 (시카고, 미국)
1998 200인 조각가 소형 작품전 (선 화랑)
2018 설레임 전 (LA 한국문화원 아트갤러리, 미국)
2018 Encounter Korea 전 (Southern Utah Museum of Art, 미국)
2019 ANCIENT FUTURE: Contemporary Korean Artists Evoking the Past 전 (Robert and Frances Fullerton Museum of Ar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샌버나디노, 미국)

수상 경력

1981 전국 대학 미술대전 금상

1986 이탈리아 까라라 국제 조각 심포지움 1위

작품 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기타 경력

1975 망향의 동산 조형물 제작 참여

         한국은행 본점 앞 로터리 분수대조각 제작 참여
1976 국립묘지 정문 분수대조각 제작 참여
1979 상무대 육군 보병학교 상징 독수리조각 제작 참여
1987 육군 을지부대 을지문덕 장군 기마상 공동 제작
1988 육군 맹호부대 이현부 장군 추모비 설계

1996 영등포 인성산업 본사빌딩 조형물 제작
         여의도 KTB 본사빌딩 1층 로비 부조 제작
1998 특허청 발명의 날 기념 월계관 제작
2000 용산 전쟁기념관 6.25 전쟁 UN군 전사자 청동명비 자문위원
2005 논현2동 성당 청동문, 14처 제작
2006 춘천 퇴계 성당 십자고상, 14처, 상징로고 제작
2008 가천 의과학대학교 심볼마크 조형물 제작
         청주 예수고난수도회 성모상, 피에타 상 제작
         논현2동 성당 성모상 제작
2010 우장산 성당 건축 기본 설계 디자인
2011 종로 성당 대성전 리노베이션 지휘 감독 및 제작
2012 아현동 성당 대성전 묵주조명등, 묵주기도의 성모님 부조 제작
2014 경기도 이천 반월성 성당 예수성심상 제작

         춘천 주교좌 죽림동 성당 예수성심상, 야외 14처 제작
2016 춘천 죽림동 성당 예수부활상 제작
2016 연세의료원 연세빌딩 현봉학 박사 동상 제작

bottom of page